슬라이드 1)
안녕하세요? 대화형 AI를 활용한 추억 공유 & 가족 커뮤니케이션 앱 발표를 맡은 팀 패치의 조다은입니다.
슬라이드 2)
네, 2025년, 앞으로 불과 5개월만 지나면 대한민국은 초고령사회에 들어서게 됩니다. 다섯 명 중 한 명이 65세 이상이라는 의미인데요. 노인 인구 1000만 시대에, 이 중 독거 노인의 비율은 20% 이상에 달합니다.
슬라이드 3)
이는 가족이 없어서가 아니라, 전통적인 확대가족의 형태에서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노인 단독 가구 형태가 더 일반화되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슬라이드 4)
또 한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슬라이드 5)
“가족과 같이 살지 않는다고 해서 교류까지 없는 것이 아니라, 분리된 가구의 형태로서 꾸준히 교류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가족과 함께 살지 않는 노인들의 일상은 어떠한지, 현재 독거 중이신 저희 팀원의 할머니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그 대답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슬라이드 6)
인터뷰
슬라이드 7) 인사이트
이 인터뷰를 비롯하여 저희 다방면으로 리서치를 진행한 결과
홀로 사는 노인에게는 외로움, 또 정해진 일과가 없어 불규칙적인 생활을 하거나, 가족들과의 연락을 원함에도 불구하고 섣불리 하지 못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슬라이드 8) 문제점
그리고 이런 상황들은 결국 우울감을 지속시켜 노인 우울증을 유발하거나,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는데요.
슬라이드 9) 유저 페르소나
그래서 저희는 이런 문제 상황에 보다 몰입하여 솔루션을 제시하고자, 세대별 유저 페르소나를 정의해 보았습니다.
(슬라이드 10)
자녀 세대에서는 공감대 그리고 대화 소재가 부족하다는 것
(슬라이드 11)
부모 세대는 일이 바쁘다보니 자주 연락을 실천에 옮기지 못한다는 것
(슬라이드 12)
그리고 조부모 세대에는 가족들에게 부담을 줄까봐와 같은 염려로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슬라이드 13)
그래서 저희는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어떻게 하면 연락으로 이어지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지, 또 다양하고 깊은 주제로 이야기 할 수 있을지 등과 같은 고민을 통해
슬라이드 14)
결론적으로 '시니어 그리고 그 가족들이 보다 손쉽게 소통하며, 후회 없는 가족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서비스라는 목표를 세우게 되었습니다.
슬라이드 15)
이러한 서비스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가족을 위한 여러가지 기능들이 후보에 올랐는데요
(슬라이드 16)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핵심 가치를 디벨롭하여
(슬라이드 17)
최종적으로 ‘노인을 위한 가족 기반 Micro SNS’를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슬라이드 18)
그렇다면 이제부터 저희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용어부터 정의하고 싶은데요, 할머니/할아버지를 가장 중심이 되는 VIP로,
(슬라이드 19)
가족들은 Member라는 이름을 붙여
VIP가 중심이 되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였습니다.
(추가)
여기서 말하는 가족이란, 직계 가족 뿐 아니라 가깝게 소통하고 지내는 친인척 등 넓은 범위가 될 수 있습니다.
슬라이드 20)
그리고 이 VIP와 멤버는, 핵심 1가지 기능과 2가지의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입니다.
이렇게만 들으면, 어떤 기능인지 와닿지 않으실 거 같아, 바로 자세한 설명으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슬라이드 21)
먼저, 추억 기록은 멤버가 추억하고 싶은 사진을 전송하면, VIP는 그 사진을 통해 챗봇 모니와 함께 사진과 관련한 추억 이야기를 나눌 수 있습니다.
(슬라이드 22)
저희의 챗봇 모니는, GPT4o를 활용하여 구현한 챗봇으로, 귀여운 캐릭터와 함께 실감나는 대화를 하며 추억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슬라이드 23)
다음으로 미션 일과 기능으로, 각각의 일과는 VIP가 수행해야하는 일과에 인증을 남겨야 하는 미션의 형식으로 제공되며 이 인증을 멤버들에게 공유할 수 있는데요.
(슬라이드 24)
이 미션 일과는 정해진 시간에 푸시 알림을 통해 리마인드 되어,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고 규칙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