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유도, 공감대를 통한 라포 형성

기능을 설득력 있게 잘 설명하도록!

계속 움직이기!


1. 프로젝트 개요

슬라이드 1)

안녕하세요? 대화형 AI를 활용한 추억 공유 & 가족 커뮤니케이션 앱 발표를 맡은 팀 패치의 조다은입니다.

마지막이라서 다들 많이 힘드실 텐데요, 마지막인만큼 청중 여러분들 모두 지루하지 않도록 열심히 발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슬라이드 2)

네, 2025년, 앞으로 불과 5개월만 지나면 대한민국은 초고령사회에 들어서게 됩니다. 다섯 명 중 한 명이 65세 이상이라는 의미인데요. 노인 인구 1000만 시대에, 이 중 독거 노인의 비율은 20% 이상에 달합니다. 아마 여러분도 대부분 할머니, 할아버지와 다같이 살기 보다는 따로 사시는 경우가 많을 것 같은데요,

슬라이드 3)

이는 가족이 없어서가 아니라, 전통적인 확대가족의 형태에서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노인 단독 가구 형태가 더 일반화되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슬라이드 4)

한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슬라이드 5)

“가족과 같이 살지 않는다고 해서 교류까지 없는 것이 아니라, 분리된 가구의 형태로서 꾸준히 교류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가족과 함께 살지 않는 노인들의 일상은 어떠한지, 실제로 현재 독거 중이신 저희 팀원의 할머니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그 대답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슬라이드 6)

인터뷰

슬라이드 7) 인사이트

인터뷰를 듣고 나니, 저의 할머니가 생각이 나면서 죄송스러운 마음도 또 후회스러운 마음도 드는 기분인데요…ㅠㅂㅠ

이 인터뷰를 비롯하여 다방면으로 리서치를 진행하였더니, 홀로 사는 노인에게는 외로움, 무료함, 또 정해진 일과가 없어 불규칙적인 생활을 하거나, 가족들과의 연락을 원함에도 불구하고 섣불리 하지 못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슬라이드 8) 문제점

그리고 이런 상황들은 결국 우울감을 지속시켜 우울증을 유발하거나, 알츠하이머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는데요.

슬라이드 9) 유저 페르소나

그래서 저희는 이런 문제 상황에 보다 몰입하여 솔루션을 제시하고자, 세대별 유저 페르소나를 정의해 보았습니다.

(슬라이드 10)

자녀 세대에서는 할머니, 할아버지와 나눌 공감대와 대화 소재가 부족하다는 것

(슬라이드 11)

부모 세대는 일이 바쁘다보니 자주 연락을 실천에 옮기지 못한다는 것

(슬라이드 12)

그리고 조부모 세대에는 가족들에게 부담을 줄까봐와 같은 염려로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슬라이드 13)

그래서 저희는 이러한 문제점을 착안하여,

어떻게 하면 연락으로 이어지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지, 또 다양하고 깊은 주제로 이야기 할 수 있을지와 같은 논의를 통해

슬라이드 14)

'시니어 그리고 그 가족들이 보다 손쉽게 소통하며, 이를 통해 후회 없는 가족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서비스라는 목표를 세우게 되었습니다.

2. 서비스 소개 및 기능

슬라이드 15)

이러한 서비스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가족을 위한 여러가지 후보 기능들 중,

(슬라이드 16)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핵심 가치를 디벨롭하여

(슬라이드 17)

최종적으로 ‘노인을 위한 가족 기반 Micro SNS’를 선정하게 되었습니다.